수미상응의 시상 전개를 통해 구성상 안정감을 주고 있다. 제목에 중요한 내용이 이미 다 있습니다. 수미상응=수미상관=수미쌍관. 이 셋이 같은 의미라는 것을 아는 학생이 의외로 적습니다. 다 같은 것입니다. 수미상응은 위에서 예로 든 선택지에서처럼 구조적인 안정감을 주기도 하지만의미 강조, 여운 형성, 운율 형성 등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Category자료/개념어 (21)
‘~~’에서는 고달픈 삶을 살아가는 화자의 한의 정서를 엿볼 수 있군. 문제를 풀다 보면 '한의 정서'가 좀 애매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럴 땐 일단, 해당 문장 속의 수식어에 주목하세요. 이 선택지에는 '고달픈 삶을 살아가는'이라는 수식어가 있습니다. 그 모습이 우리 민족의 보편성과 무관하지 않다 여겨지면 한의 정서입니다. 일반적으로 한의 정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닙니다.- 단순히 슬픈 것 이상으로 우리 민족이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슬픔.
‘~~’에서는 4음보의 전통적인 율격을 확인할 수 있군. 문제를 풀다가 이런 선택지를 만나면, 4음보가 어디 숨어있나 찾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는 어리석은 일입니다. 음보율은 일반적으로 시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기 때문입니다. 고전시가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며, 현대시에서 변용하여 차용한 것입니다. 즉, 일부분만 4음보나 3음보를 띠는 시는 없습니다. 설령, 4음보나 3음보처럼 볼 수 있는 한두 행이 나타난다 하더라도 그런 것을 음보율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시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율격을 우리는 음보율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선택지가 종종 있습니다. ‘~~’에서는 3음보의 전통적 율격이 두 행에 걸쳐 구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군. 이것은 두 행만 3음보라는 것이 아닙니다...
1. "완곡한 표현과 우회적∙간접적 표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1-1. '완곡하다'는 것은 위에 보이는 것처럼, '감정이 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문에 '자랑', '사양했다', '충고', '간청', '거절했다', '고수했다' 등의 단어가 보이죠? 그러니까 이로 미루어 보면, 자랑하거나 사양하거나 충고하거나 거절하거나 고수할 때 완곡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1-2. '우회적'이라는 것은 위에 보이는 것처럼, 멀리 돌아가는 것입니다. 예문에서 볼 수 있듯이 '접근, 표현, 해결 방안, 설명, 방법, 불만' 등을 할 때 우회적으로 합니다. 그러면 왜 곧바로 가지 않고 돌아갈까요? 그게 더 효과적이니까 그렇겠죠? 특히 마지막 예문에 있는 '불만'과 같은 것에는 상대방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으려는 의..
이번 포스트에서는 판소리와 관련한 2개의 개념어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장면의 극대화 인물이 성격적 일관성에서 벗어나는 행동을 하거나 이야기의 전개가 플롯의 일관성 또는 응집성을 벗어나 장면 설정의 맥락적 의도를 최대한으로 구현하도록 변화를 보이는 판소리의 이야기 전개 방식.[각주:1] 서사 갈래에서 장면은 수없이 많습니다. 장면과 장면의 연속이라고도 할 수 있지요. 그 수많은 장면 속에서 어느 한 장면에 꽂힌다면 어떻게 될까요? 예를 들어, 첫사랑 그녀와 우연히 마주쳤는데 말을 걸까 말까 하는 그런 순간들. 시간이 느리게 가겠지요? 그만큼 그 장면을 표현할 수 있는 말들도 많아질 겁니다. 이런 것이 판소리에서 말하는 장면의 극대화입니다. 단, 판소리니까 풍자, 해학의 요소가 강하겠죠? 슬픔의 정서가 극대..
Q. 위 지문에서 주황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사건의 요약적 제시'로 볼 수는 없나요? A. 네, 언뜻 사건의 요약적 제시로 보이기는 합니다. 점점 말수가 적어지는 '아버지'의 변화를 제시하였고, 반대로 점점 자유로워지는 '식모'의 변화를 제시했다는 점에서는 그렇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것들에 주의해야 합니다. ✔️ 사건의 요약적 제시는 직접 제시의 한 방법이다. ✔️ 사건의 요약적 제시를 하면 사건의 전개 속도가 빠르다. ✔️ 직접 제시(말하기, Telling)는 인물에 대해 서술자가 직접적으로 제시한다. ✔️ 반면, 간접 제시(보여주기, Showing)는 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해 인물을 제시한다. ✔️ 간접 제시는 극적 제시, 장면적 제시라고도 하며, 이것은 사건의 전개 속도가 느리다. 위 지문은 ..
Q. 지문에 '전교당'에 대해 설명할 때 "요즘으로 따진다면"이라고 하면서 그것이 '강당'과 비슷하다는 표현이 있습니다. 이것이 유사한 다른 현상에 빗대어 표현한 것이 아닌가요? A. 우선, '빗대다'라는 단어의 뜻을 보겠습니다. 전교당을 설명하기 위해 강당을 언급한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해 오늘날의 유사한 개념을 제시한 것일 뿐 빗댄 표현은 아닙니다. 더군다나 ㄱ에 보면 유사한 다른 '현상'이라고 밝히고 있는데 '강당'이 현상도 아니지요. 또한, 말하고자 하는 것이 '전교당'인데, '강당'을 언급함으로써 '전교당'을 곧바로 말하지 아니한 효과가 있나요? 없죠?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ㄱ은 반영되지 않은 내용입니다. 화법과 작문 문제에서 의외로 개념에 대한 오해로 인해 틀리는 사례가 종종 있습니다. '요즘..
Q. A.규원가의 '귀뚜라미'가 객관적 상관물이냐는 질문입니다. 객관적 상관물은 다음 셋 중 하나죠. ― ① 상반된 감정을 유발하여 자신의 감정을 심화시키는 것, ② 감정이입의 대상, ③ 자신과 비슷한 처지라고 여겨지는 것(감정 투영). 이 셋을 염두에 두고 규원가에서 귀뚜라미가 언급된 부분의 현대어 역을 볼까요? (봄 세 달 동안의 꽃과 버드 나무) 봄날 온갖 꽃 피고 버들잎이 돋아나는 좋은 시절에 아름다운 경치를 보아도 아무 생각이 없다 가을 달이 방에 들이비추고 귀뚜라미 침상에서 울 때 긴 한숨 흘리는 눈물, 헛되이 생각만 많다. 아마도 모진 목숨 죽기도 어렵구나 파란색은 귀뚜라미의 정서, 빨간색은 화자의 정서입니다. 서로 통하고 있지요? 특히, 화자는 한숨 흘리며 눈물을 흘리고 있는데, 귀뚜라미도..
Q. A. 단정적 어조란? ― 망설이지 않고 분명하게 말하는 것입니다. 추측하지 않고 확신하는 것이죠. 즉, 추측하거나 망설이는 표지가 없으면 됩니다.(말줄임표나, 추측, 가정의 표지가 없어야겠죠?) 독백적 어조와 말을 건네는 어조에 대해서는 수업 시간에 한 학생이 정리해 주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확인해 주세요. 일반적인 평서형 종결 표현인 '~다'로 끝나면 일반적으로 독백체입니다. 그러나 '~자'로 끝나는 청유형, '~라'로 끝나는 명령형, '~어'로 끝나는 구어적 표현(예: 했어) 등이 있으면 일반적으로 대화체입니다. 이러한 어조를 판단할 때에는 이렇게 주로 어미를 봅니다만, 어미만 봐선 안 되고 문맥을 통해 최종 판단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예를 들어 '-리라' 같은 경우, '지금쯤 도착했으리라'는..
Theme by Anders No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