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작품의 지문을 분석하고 문제를 풀어나가는 전 과정을 모둠원들과 함께 하되, 내용 정리와 발표를 위한 자료 정리는 서로 다른 역할을 함으로써 구성력과 창의력을 높이고 협동심을 기르고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반드시 둘이라야 한다는 핵심 원칙에서는 벗어나 있습니다만, 다음과 같이 하브루타의 요소를 고려하였습니다. 첫째, 대화하고 토론하고 논쟁할 수 있습니다. 둘째, 자신과 팀 구성원에게 질문을 하고 답을 찾는 과정입니다. 셋째, 교사가 정답을 제시하지 않습니다. 넷째, 정리의 방법적인 측면에서, 매번 다르게 생각하도록 유도합니다. 다섯째, 공부이면서 형식을 갖춘 놀이이며 수다입니다.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지문을 소리 내어 읽습니다. 내용에 따라 몇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제시된 지문의 장..
Category학생활동중심수업 (9)
이 수업의 큰 흐름은 '모둠 구성 ➔ 작품 내용 파악 ➔ 쟁점에 대한 짝토론 ➔ 모둠토론 ➔ 전체토론'입니다. 모둠을 구성하는 방법은 다른 글에서 정리하였고, 작품 내용을 파악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니, 여기서는 뒤의 세 단계에서의 활동을 정리하려 합니다. 이 흐름은 의도한 것은 아니나, 전성수 박사가 명명한 '논쟁 중심의 하브루타 수업[각주:1]'의 흐름과 유사합니다. 1. 짝토론 다음과 같은 운영이 가능합니다. 첫째, 하나의 논제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맡고 이를 주장하게 합니다. (예) 에서, "덴동어미가 운명론자인가, 아닌가?"라는 논제가 주어졌을 때, 한 명은 '운명론자이다'의 입장을, 다른 한 명은 '운명론자가 아니다'의 입장을 의무적으로 취하게 함으로써 두 가지 관점 모두를 스스로 찾아..
"지문이 길어서요." 국어가 싫다는 학생이 있어서 왜 싫으냐고 물어보니, 대답한 말입니다. 지문이 길다니?? 세상을 살면서 접해야 하는 신문 칼럼이나, 기획기사는 물론이고, 교양을 쌓기 위해 읽어야 하는 책들과 자기계발서 등이 얼마나 긴데, 고작 문제 출제를 위해서 짧게 편집된 몇 개의 글이 길다니???!!! , 라고 쏘아붙이고 싶었지만 그래도 다른 과목에 비해서는 길긴 길지.. 허허허.. 하고 웃었습니다. 지문이 길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은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지문 속의 문장이 너무 길어 이해가 안 된다. 지문을 읽는데, 내용이 낯설어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 된다. 지문을 읽고, 문제를 풀려는데 지문의 내용이 기억나지 않는다. 지문을 읽고, 문제를 풀다가 내용이 기억이 안 나 어디있는지 ..
2014년에 구미공공도서관의 제의로 구미/칠곡 권역의 4개 중고등학교에서 독서토론동아리 연수를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미지의 아이들을 만난다는 설렘과 재미로 가득했던 즐거운 시간들이었는데요, 이 때 사용한 토론 모형은 김해시 청소년 인문학읽기대회에서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교내 토론대회나, 독서토론부에서 곧잘 변형하여 활용하곤 하였었습니다. 1. 책 소개 및 동영상 보기 ― 이 때 저는 생텍쥐페리의 를 지정도서로 하였기에, 그의 삶을 다룬 'EBS 지식채널e - 마지막 비행' 편을 흥미 유발 요소로 보여주었습니다. 또는 전체 줄거리를 프레지 등으로 흥미롭게 만들어서 보여주는 방법도 괜찮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를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이 한 번 읽고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니까요. 2. 낭독하기 ―..
토론에 참여해야 하는 인원이 아주 많을 때, 그러니까 30명 이상인 경우 많은 학생들이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표현력과 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모둠 별로 프레젠테이션을 '종이'로 준비하고 발표하면서, 과정 속에서 토론을 배우고, 의견을 달리 하거나 보충 설명이 필요하면 질의를 하여 우수 팀를 가리고 칭찬 내지 보상을 하는 모형입니다. 모둠 별로 PT대회를 하겠다고 알리고, 논제(주제)와 시간 운영계획을 공지합니다.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발표팀: 소설의 내용을 바탕으로 주어진 의문을 효과적이고 설득력 있게 제시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고 발표한다. 발표 중 제기되는 질문에 성실하게 답변한다. *청중: 다른 팀이 발표할 때, 주장의 허점을 찌르는 효과적인 질문을 한다. 사전에, 학..
포스트잇은 여러 개로 나뉘어져 있지만, 모아서 전체로 만들 수도 있는, 아주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 활동은 포스트잇에 작품의 내용 일부를 시각화하고 이를 모아 재구성함으로써 작품 전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활동이며, 크게 아래와 같은 흐름을 지닙니다. 학생 각자가 포스트잇에 내용을 기록한다. ➔ 모둠별 모니터 요원들이 우수 모둠을 선발한다 ➔ 발표한다. 절차 문학 작품의 내용을 모둠원의 수(혹은 그 이상)만큼의 장면으로 쪼개어 각각의 모둠원이 한 장 이상의 포스트잇에 그것을 표현합니다. 어떤 장면을 어떻게 나눌지에 대한 토론과 협의가 모둠별로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내용 이해에 기여할 수 있는 정보들을 동료학습자들끼리 주고받습니다. 이렇게 서로 말하고 듣는 과정에서 더 분명히 ..
매시간 모둠장을 뽑는다고?? 모둠장을 고정해 두면 좋은 점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모둠장을 정하지 않고, 수업에서의 역할만 분명히 하는 모둠장을 재미있게 뽑는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제안해 보려 합니다. 기존의 모둠 활동에서는, 모둠원은 고정되어 있고 수동적이며, 모둠장은 우수한 학생이 맡아 팀을 이끄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런 방식은 장점도 있지만 다소 매너리즘에 빠질 우려가 존재했습니다. 여기에서 매너리즘이란, 고정된 수업 패턴 속에서 모둠 안에서의 자기 역할과 활동 범위가 고정되어 타성에 젖어 활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모둠장을 임의로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제시했다면, 모둠장은 그 시간 동안 모둠에서는 '왕'과 같은 존재로 인정해 주어야 한다고 학생들에게 안내합니다. 이는 모둠장이 아닌 학생..
이 활동은 한 작품이 끝날 때마다 진행하는 소단원 형성평가를 다루는 차시에서 주로 활용합니다. 혼자서 형성평가 문제를 푸는 것보다 애초부터 동료학습자와 대화를 하면서 문제를 풀면, 자신의 사고 과정을 진단하는 데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 하는 발상으로 설계된 모형입니다. 혹은 문제집을 교재로 삼은 방과후수업에서 활용해도 좋을 방법입니다. 발상은, 현시적 교수법에서 교사의 시범보이기 전략 중 하나인 '사고구술'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목표는 학생이 동료 학습자와 함께 스스로 해보게 하는 것입니다. 학생이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소리내어 말한다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하는 말을 자신의 귀로 들으면서 자연스럽게 메타인지가 작동하게 됩니다. 한편 교사는 학생들의 이러한 활동을 옆..
본 글의 내용은 고3 학생들을 대상으로, EBS 연계교재에 있는 문제 풀이 능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계획된 것입니다. 3학년 2학기 들어, EBS 문제집을 풀어야 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지문과 보기와 선택지의 핵심어를 찾는 연습을 집중적으로 하였습니다. 수업 구상 단계에서 포기할 수 없는 조건은 2가지였습니다. 1. 수업 중에서만이 아니라 따로 자습을 할 때에도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을 하자.2. 적어도 수업 시간만큼은 옆의 친구와 함께 하도록 하자. 그래서 나온 것이 문항 핵심어 찾기 활동 수업입니다. 이 활동의 의의는 다른 글에서 밝혔습니다. ― 핵심어나 낯선 어휘 찾기의 효과(http://googeo.kr/entry/findkeywords) 이 글에서는 이러한 공부방법을 어떻게 수업활동으로 이끌어내는..
Theme by Anders No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