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모든글 (490)

📦국어공부자료/문제해결전략

[지문분석연습] 호흡의 원리(2018년4월, 고3)

2018년 4월에 치러진 전국연합학력평가(고3) 중 가장 어려운 난이도였던 '호흡의 원리' 지문에 대한 분석입니다. 단, 지문의 내용에 대한 해설은 아닙니다. 이런 종류의 지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제안하는 글임을 알고, 그러한 관점으로 읽어주면 좋겠습니다. * 지문에 표시된 기호들은 대부분 이해황의 에서 사용하는 '독해력강화도구'들입니다. * 굳이 설명이 필요없는 부분은 제외하였습니다. 두 번째 단락입니다. 문장이 매우 길죠? 근데 사실 별거 아닙니다. 유입된 공기가 기관·기관지를 거쳐 폐포로 간다는 게 다예요. 바로 거기에서 기체 교환이 일어난다고 하고요. (그밖의 내용은 읽어 보면 쉽게 납득이 가는 내용입니다.) 용어에 주의하며 읽어야 합니다. 새로운 용어가 나오면 개념과 기능을 잘 ..

🎯수능과교과서/지적대화를위한비문학읽기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A: 05강

김지수 ― [장자의 ‘초인’](link) 원한을 사람으로 품어줄 수 있고 사랑으로 품어줄 수 있는 사람. 호방함과는 달리 현실을 지긋이 바라보는 것. 저도 무엇이 되게 뛰어나고 이런 사람보다는 가만히 앉아서 잘 들어주고 잘 공감해 주고 해를 끼치는 사람이라도 품어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생각했어요. ―― 최진경 ― [역사에 대하여](link) (지문의 내용을 설명하며) 역사적 사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혜인: 기록물은 승자의 입장에서 쓰여진 것이라는 점에서 내용이 달라지는 것도 있고, 해석이 달라지는 것도 있고, 사실 관계가 다른 것도 있다고 배웠어요. 그런 걸 보면 선택과 재구성이라는 설명이 잘 와닿는 것 같아요. 가영: "역사는 언제나 새롭게 서술될 수 있고, ~ 깊이가 ..

📺미디어리터러시/TED로세상보기

TED 보고 칼럼 쓰기[과학] 03강

데니스 홍 :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동차 만들기 | TED2011 로봇, 레이저 거리측정기, GPS와 스마트 피드백 도구들을 이용해서 데니스 홍은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자동차를 만들고 있습니다. 그가 조심스럽게 언급하길 이것은 자율주행 자동차가 아니고 앞을 볼 수 없는 사람들이 속도, 차간 거리, 경로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독립적인 운전이 가능한 차입니다. ―― 구거투스: 정말로 매우 감동적인 강연입니다!! 저도 처음엔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이야기일 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데니스 홍이기 때문에 보았는데요, 전혀 다른 자동차였습니다. 맹인이 주체적으로, 자율의지를 갖고, '운전을 하는' 자동차입니다. 그래서 자율주행 자동차보다 훨씬 큰 감동이 있습니다. 시연 성공 후 차에서 내린 시각장애인 운전자의 ..

🎯수능과교과서/지적대화를위한비문학읽기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B: 03강

김영일 - [동영상 압축 기술](link) 댓글에 달았던 질문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얻고자 나왔습니다. 3문단 마지막 내용을 [제거 가능한(중복인)성분 = 우유의 수분] [데이터의 양 = 전지분유의 부피] [동영상의 화질 = 원래 우유의 맛] 이라고 이해를 했습니다. 그러면 [중복인 성분 많이 제거 -> 데이터의 양↓ -> 동영상 화질↓]이 되고, 이걸 우유에 적용하면 [우유의 수분 많이 제거 -> 전지분유의 부피↓ -> 우유의 맛↓]이 되어야 하는데 지문에서는 우유의 맛이 거의 보존된다고 했습니다. 제가 지문을 잘못 이해한 것인지, 잘못 이해한 것이라면 제가 정리한 것을 어떻게 고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혜원: 화소 간의 중복된 부분이 불필요하니까 없앤다는 의미. 우유의 수분을 없애는 것도 불필요한 것..

📺미디어리터러시/TED로세상보기

TED 보고 칼럼 쓰기[인문] 04강

줄리아 갈렙(Julia Galef) ― 당신이 틀렸음에도 당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이유 | TEDxPSU 2016 당신의 믿음이 시험대에 올랐을 때, 관점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당신은,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당신의 견해를 지키려는 '병사'입니까, 호기심에 가득찬 '스카우트(정찰병)'입니까? 줄리아 갈렙은 19세기 프랑스의 한 역사적 사건을 통해 이 두 마음자세 뒤에 있는 동기와, 이들이 어떻게 정보를 해석하고 조합하는지를 보여줍니다. 그러면서 질문을 던집니다 - “당신은 무엇을 갈망하나요? 당신의 믿음을 지키기를 갈망합니까? 아니면 가능한 세상을 정확히 보기를 갈망합니까?” ―― 구거투스: 지난 시간에는 수잔 케인의 강연을 보았지요. 그 강연은 TED 중에서도 손꼽을 만한 매우 인기있는 강연이기도 하지..

🎯수능과교과서/지적대화를위한비문학읽기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A: 04강

안예홍 ― [가장 놀라운 화합물, 물](link) 지문을 요약한 내용 발표: http://takentext.tistory.com/62#comment11078145 가을: 그리고 하나 덧붙이자면, 물이 표면부터 얼기 때문에 수중생물의 생존이 가능해요. 일동: 우오오~~ 가영: 발표자께서는 요약 내용을 지문만 읽고 정리한 거에요? 예홍: 그래요. 일동: 우오오~~~ ―― 백승연 ―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link) (지문 내용 요약 발표 후) 그런데 지문을 읽고 드는 생각은 정확한 표현이 아니어도 상대방이 알아들으면 되지 않나?, 하는 것이었어요. 혜인: 그냥 알아듣기만 하면 된다고 하지만, 의도를 잘못 이해하는 사람들도 있으니 맞게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가영: 별것도 아닌 어법 ..

📺미디어리터러시/TED로세상보기

TED 보고 칼럼 쓰기[인문] 03강

수잔 케인(Susan Cain) ― 내성적인 사람들의 힘 | TED2012 사교적이고 외향적인 문화는 항상 좋게 여겨왔습니다. 그래서 내성적인것은 어렵고 심지어 부끄럽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수잔 케인의 열정적인 강연에서 내성적인 사람들은 특별한 재능과 능력을 세상에 보여 줄 수 있고, 권장되고 축복받아야하는 성격이라고 말합니다. ―― 구거투스: 연사는 어릴 때 캠프에 가서 단지 독서가 하고 싶었을 뿐인데, 어색한 응원 구호를 연습한 것으로도 모자라 가방에서 책을 꺼냈다가 죄책감까지 느껴야만 했습니다. 이 상황이 '죄책감'을 느껴야만 하는 상황일까요? 이 강연에서 수잔 케인은 내성적인 사람들의 힘을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그녀가 하는 이야기들은 모든 면에서 내성적인 사람이 우월하다는 것이 아닙니다...

🎯수능과교과서/지적대화를위한비문학읽기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A: 03강

지난 한 주간 1일 1비문학 읽기 프로젝트를 실행한 결과를 점검하고, 그 중 이야기 나누고 싶은 지문을 골라 희망 학생이 발표하였습니다. ―― 권지수 ― [청소년의 길거리 문화](link) 아.. 음... 아... ―― 윤지민 ― [노화를 설명하는 이론들](link) 불로장생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었어요. 근데 노화에 대한 비밀이 밝혀지면서 그것이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내용이 나와요. (서가영: 불로불사가 된다고 해도 이기적인 인간의 속성상, 살 공간 확보를 위해서라도 미래세대를 만들지 않을 것 같아요.) (구거투스: 이 지문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텔로미어에 대해 조금 알고 있어서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 ―― 박민준 ― [민주주의와 시장경제](link) 민주주의의 대표적인 의사결정방법인 다수결은 누구나 ..

📺미디어리터러시/TED로세상보기

TED 보고 칼럼 쓰기[과학] 02강

브라이언 그린 : 우리의 우주가 유일한 우주일까? | TED2012 현대 우주론의 중심부에는 다음과 같은 의문이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는 어떻게 생명체에 적합한 조건에 맞춰 정밀하게 조율되어 있는 것일까? 과학계의 가장 획기적인 발견들을 다루는 이 강연에서 브라이언 그린은 너무나도 놀라운 다중우주의 개념이 어떻게 이 의문에 대한 답을 제시해 줄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 구거투스: 나만 다 이해 못한 것은 아니죠? 새로운 개념들이 많이 등장해서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고 여전히 이해 안 되는 부분도 있지만, 강연자가 매우 짜임새있게 발표를 해 주었고 내용 자체가 매우 흥미로운 내용이라서 굉장히 즐겁게 본 강연이었습니다. 주엽: 연사가 도임 부분에서 차례를 언급한 점, 비언어를 많이 사용하는 ..

🎯수능과교과서/지적대화를위한비문학읽기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B: 02강

지난 한 주간 1일 1비문학 읽기 프로젝트를 실행한 결과를 점검하고, 그 중 이야기 나누고 싶은 지문을 골라 희망 학생이 발표하였습니다. ―― 최다인 ― [초음파 진단 장치의 작동 원리](link) 소고기 마블링을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를 사용하는 것은 알고 있었어요. 지방과 단백질을 구분해 주거든요. (지문 내용 요약 후) 물리 시간에 파동을 배웠는데, 심화된 내용이라 더욱 관심이 갔습니다. ―― 최혜원 ― [제3자 효과](link) 유일하게 읽은 사회 지문입니다. (지문 요약 후) 읽으면서 김영란법도 이에 해당된다고 생각했어요. (구거투스: 이 지문을 읽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이 글의 이미지인 케이크 사진이 눈에 들어와서 읽었어요. ^^ ―― 김나영 ― [성품의 탁월함을 가르칠 수 있는가](lin..

📺미디어리터러시/TED로세상보기

TED 보고 칼럼 쓰기[인문] 02강

랍비 조나단 색스 경 : 두려움 없이 미래를 함께 마주하는 법 | TED2017 지금은 역사에서 아주 중대한 순간입니다. 우리는 불화를 일으키는 선거, 분열된 사회와 점점 증가하는 극단주의를 보고있지요. 다 불안함과 불확실성으로 인한 것입니다. "우리 개개인이 미래를 두려움 없이 마주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게 있을까요?" 랍비 조나단 색스 경이 질문합니다. 이 신나는 강연에서 정신적 지주는 우리에게 "나"의 정치에서 "우리 모두"의 정치로 갈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을 제안합니다. ――― 구거투스: 강연에 대하여 편안하게 이야기해 봅시다. 유진: '내 미래'라고만 생각했는데, '우리의 미래'라고 해서 큰 감동을 받았어요. 위대한 지도자에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정치를 해야 한다는 내용에도 큰 ..

🎯수능과교과서/지적대화를위한비문학읽기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A: 02강

지난 한 주간 1일 1비문학 읽기 프로젝트를 실행한 결과를 점검하고, 그 중 이야기 나누고 싶은 지문을 골라 희망 학생이 발표하였습니다. ―― 서가영 ― [느낌에 대한 철학적인 고찰](link) 타인이 베었을 때의 느낌은 내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요. 그런데 실제로 같은지는 모르죠. 유추의 논리와 같아요. EBS 다큐프라임 '4차인간' 편을 보았습니다. 인공지능과 친밀감을 형성한 사람들이 ― 스탠리 밀그램이 권위에의 복종 실험을 했듯이 ―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자신의 기계에 전압을 높이는 실험에 참가하는 이야기였어요. 결과는, 90%가 폐기를 의미하는 KILL 버튼을 누르지 못하더군요. 인공지능 기계가 아프다고 호소하는 것에 내 느낌을 이입해서, 동일시해서 아프다고 느낀 것은 아닐까 생각해요. 로봇은 ..

Theme by Anders Noren.

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