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인 ― [우주배경복사](∽)
우주배경복사는 펜지어스와 윌슨이라는 사람이 발견했어요. 처음엔 이걸 찾으려는 건 아니고, 망원경에 잡음이 들려서 이걸 없애려고 하다가 발견한 거예요. 우주에서 전파 날아오는 게 뭐가 신기하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빅뱅 우주론의 결정적 증거가 되었어요.이 사람들은 이걸 연구하려는 것도 아니었는데, 이 연구 결과로 노벨상까지 받았어요.이 잡음 무시할 수도 있었는데, 이 사소한 것을 놓치지 않고 연구한 결과라고 생각해요. 나도 어쩌면 노벨상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요. (일동 웃음)가영: 혜인이 말 들으니까 생각난 건데, 다른 목적을 가지고 연구하다가 대단한 발견을 한 사례.. 감기약을 만들려고 했는데 임상 실험에서 다른 결과가 나와서 새로운 발견이 된 경우가 있어요.예홍: 포스트잇도 그런 식의 발견인 것 같아요.
――
인터넷이 사회적 정치적 변화를 많이 가져오는데, 조선 시대에도 이렇게 어떤 물건의 개발로 인해 정치적 변화 등이 일어났다는 게 신기했어요.조총에 대해 더 찾아보니, 임진왜란 이후에 조총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훈련도감 등을 설치하기도 했고 국방 강화를 위해 노력했는데 그렇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왜 나라가 망하게 되었을지가 궁금했어요.혜인: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법칙'을 보면 행복한 가정은 비슷한데, 불행한 가정은 이유가 다양하다는 거예요. 행복한 가정은 충족해야 하는 조건이 많기 때문이라는 거죠.예홍: 북한 같은 나라를 보면 국방력에 힘을 쏟고 있지만, 사회적 정치적 진전이 없다보니 망하는 것 아닌가 생각이 들었어요.은지: 다들 맞는 말씀이긴 한데, 저는 외세의 침략에 의해 나라가 약해져서 아쉬웠던 것 같아요.민준: 조총 도입까진 좋은데 그 이후에 발전이 없었던 것이죠. 사농공상의 차별의식이 계속 지속되었죠. 반면 서양의 경우는 아프리카와 아메리카에 가서 자신들이 가진 압도적인 무기로 식민지를 만들었잖아요? 우리나라는 그에 비해 침략을 좋아하지 않았고, 반도 국가였고, 대륙으로의 진출도 힘들었고, 조선술도 뛰어나지 않아서 일본 진출도 어려웠고, 사실 상 섬처럼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국력이 많이 쇠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
서가영 ― [연민의 의미와 가치](∽)
연민을 느끼려면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대요. 우연 + 나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그런데 현대에는 연민을 느끼기가 어렵대요. 그 사람이 잘못해서 그렇다고 여기고, 나에게도 일어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말이죠.그럼에도 연민이 중요한 이유는 예전보다 위험성이 증가되기도 했고, 사회경제적으로 더 긴밀해졌기 때문이며, 다른 사람의 고통을 접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에요.글은, 진정한 연민을 느낀 사람이라면 연대를 제의할 거래요. 그렇지 않은 사람은 성벽을 쌓을 거구요. 근데 이것과 관련해서 떠오르는 것이 있었어요. 예전에 착한 사마리안법에 대해 토론을 했었는데, 그 토론을 준비하면서 읽었던 책에 ‘동정은 나와 타인을 구분하는 감정이며, 공감은 나와 타인을 하나로 보는 감정이다’ 문구가 잊혀지지 않아요.여러분의 감정이 동정인지 연민인지 한번 생각해 보라는 뜻에서 발표해 봤어요.혜인: 아까 가영이가 다른 사람의 불행을 보고도 자신에게는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여기는 사람이 많다고 이야기했는데, 정말 공감이 돼요. 누군가가 부당한 법에 의해 부당함을 겪더라도 그것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은 잘 없는 것 같아요.가영: 데이트 폭력을 제대로 처벌하지 못하는 이유도 관련 법이 없기 때문이래요. 현대인들이 다른 사람과 ‘나'를 너무 구분지어서 그런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어요.민준: 저도 읽고 댓글을 달다가 친구가 지워버려서 못 달았는데요, 롤스의 정의론을 읽으면 피자 한 판을 가장 공정하게 나누는 방법에 대해서 나와요, 피자를 나누는 사람이 가장 마지막에 피자를 가져간다. 약자가 많은데, 나는 저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데, 정의론의 관점이 필요한 것 같아요.
――
조유진 ― [영화의 아우라 상실](∽)
이번에 4월 모의고사 생활과 윤리에 예술작품 관련 지문이 나왔거든요? 그러고 나서 들어와 보니, 이 지문이 있더라구요~전통적 예술 작품엔 아우라가 있어요. 고고하고 그런 느낌. 그런 느낌이 연극에서는 많이 받을 수 있었는데, 영화에서는 많이 못 받는대요. 또 다른 한 단계를 거쳐서 들어오게 되니까요.다 읽고 생각난 지문이 영어 수능특강에 연극 배우들이 목소리 엄청 크고 연기 잘하는 배우들이 있는데, 영화에서는 그만한 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거예요.우리가 아우라를 느낄 수 없음에도 우리는 왜 영화에 열광을 할까요? 연극은 한정적이지만, 영화는 상상력의 폭이 훨씬 크지요. 그게 영화의 매력이 아닐까 해요.민준: 나는 이 지문을 읽으면서 좀 권위적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오페라는 아우라를 가지고 있고, 영화는 아우라가 없다고 얘기하는 것은 기존의 것들을 지키려는 관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어떻게 생각해요?유진: 저요? 아.. 그렇죠.. (잠시 생각한 뒤) 근데, 우리가 책에서 모나리자를 보는 것과 책에서 보는 것이 다르듯, 그런 것을 아우라라고 표현한 것은 아닐까 생각해요.혜인: 저는 애들이 콘서트 같은 것을 간다고 할 때 무슨 생각이 드냐면, 애들이 잡는 좌석이 무대에서 꽤 떨어져 있거든요? 사람이 이쑤시개처럼 보이는데, 그러느니 TV에서 보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거든요.유진: 좋아하는 사람과 같은 공간에 있다는 느낌. 실존하는 사람이, 작아도 눈 앞에 있는 것과 모니터 속에 있는 것은 많이 달라요.가을: 야구를 직접 보러가는 것과 티비로 보는 것도 달라요. 현장의 분위기도 느끼고 소통도 하고요. 또, 아이돌 영상을 볼 때, 매체를 토해서 보면 내가 보고 싶은 장면을 보여주지 않은 경우가 많아요.민준: 갑자기 생각난 건데, ASMR, VR 같은 것 같은 기술들이 현장감, 아우라 이런 것들을 커버할 수 있지 않을까요?가을, 유진: 한계가 있을 것 같아요.민준: 사실 엄밀히 말하면 콘서트의 스피커에서 나는 소리도 기계에서 나는 것인데...
'참여 > 비문학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B: 06강 (0) | 2018.05.11 |
---|---|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A: 08강 (0) | 2018.05.09 |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A: 07강 (0) | 2018.05.09 |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B: 05강 (0) | 2018.04.19 |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B: 04강 (0) | 2018.04.13 |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A: 05강 (0) | 2018.04.10 |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B: 03강 (0) | 2018.04.05 |
지적 대화를 위한 비문학 지문 읽기A: 04강 (0) | 2018.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