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자료/국어문법 (19)

자료/국어문법

[Q&A] 붙임표의 용법?

⑤번 선택지가 왜 틀렸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습니다. 의 핵심어는 '합성어' '접사', '어미'로 보입니다. 이에 준하여 문제를 풀어도 정답이 ⑤번이라는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어간 뒤'라는 표현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어간 뒤에는 어미가 있으므로 어딘가 좀 찜찜합니다. 그래서 예시를 통해 확실히 할 수 있습니다. 문제를 잘 풀려면 주어진 정보를 최대한 활용해야 해요. '겨울-나그네'는 합성어입니다. 이는 ③번 선택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물론 ③번 선택지는 (2) 외래어-고유어 합성어이기도 하기에, '나일론-실', '염화-칼륨'과 더 가까운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슬기-롭다'는 파생어입니다. '-롭-'이 파생접미사거든요. 이는 ④번 선택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덧-'은 접두사입니다. ②번 선..

자료/국어문법

문법체계 공부노트를 만들었어요.

일전에 프레지로 만들었던 '국어 문법 체계'를 시스템노트로 만들면 어떨까 생각만 하다가 실제로 실행에 옮겨보았습니다. 생각보다 너무나도 예쁘게 나오네요.. 근데 올칼라라서 너무 비싸요.. (총 58쪽, 권당 7,000원..) 사용 목적이나 수준에 따라 자신에게 필요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법 지식을 전달하기보다 지식을 정리하는 방법을 안내하기 위한 노트입니다. 지난 여름방학 때 '메타국어' 방과후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은 각자의 노트에 이런 방식으로 정리를 하여 활용하기도 했었지요.

자료/국어문법

[Q&A] 조사 '고'와 '라고'의 쓰임

Q.조사 '고'와 '라고'의 쓰임이 다른가요? A.오늘 사설 모의고사를 치렀습니다. 국어 만점도 받았던 학생인데 조사 '고'와 '라고'의 쓰임을 정확하게 몰라 틀리고 말았네요. 이런 류의 문제는 단어의 쓰임에 관한 것이므로 인터넷이나 서적의 이런저런 설명보다도 무조건 사전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 이제 문제를 보죠. 아래의 두 그림 중 위의 것은 제시문의 일부이고, 아래 것은 선택지입니다. 제시문에서 큰따옴표(")로 묶여있는 것을 보니, 이것은 국립생태공원 담당자의 말을 그대로 따온 것입니다. 그러므로 '고'가 아닌, '라고'라는 조사가 적절한 것이지요. 선택지에서도 '조사의 사용이 적절하지 않으므로'라는 이유를 들었고, 고친 결과 또한 '라고'로 고친다고 했으므로 적절한 수정사항이 됩니다. 간혹..

자료/국어문법

[Q&A] 조사 '와/과'에 의한 중의성

Q.A. 조사 '와'는 접속조사 '와', 비교부사격조사 '와' ― 이렇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그러나 위에서 질문한 문장은 발화 의도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여지인 중의성이 없습니다. 다음의 문장이라면 얘기가 달라지지요. '유진이는 지원이와 고양이에게 밥을 주었다.' 위처럼 했다면 중의성이 생겨서 발화 의도와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해석되지요.1) 유진이가 지원이와 함께, 고양이에게 밥을 주었다. (이 경우, '와'는 '밥을 주었다'를 수식하므로 비교부사격조사입니다.)2) 유진이가, 지원이에게도 밥을 주고 고양이에게도 밥을 주었다. (이 경우, '와'는 '지원이'라는 체언과 '고양이'라는 체언을 대등하게 연결시켜 주므로 접속조사입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설명은 '..

자료/국어문법

[Q&A] 조사는 체언하고만 결합?

Q. A.조사는 일반적으로 체언과 결합니다. 그런데 체언에만 결합하는 것은 아닙니다. 관형사를 제외한 모든 단어와 결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용언의 명사형(명사형 전성어미와 결합한 동사, 형용사)과도 매우 자유롭게 결합한답니다.'읽어'는 동사 '읽다'에 보조적 연결어미 '-어'가 결합된 말입니다. 이를 강조하기 위해서 보조사 '도'가 붙은 사례입니다.

자료/국어문법

[Q&A] 중세국어 '므스게'가 이어적기?

Q. A.알고 있는 대로 중세국어의 '므스게'는 현대국어의 '무엇에'에 대응됩니다. 좀 더 분석이 용이한 현대국어를 가지고 형태소 분석하면 '무엇(대명사)+에(조사)'로 되지요? 중세국어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분석합시다. 조사 '에'와 비슷한 녀석이 있으니 이것을 빼내면 '므슥(대명사)+에(조사)'로 되겠지요? '므슥에'로 적지 않고 소리나는 대로 '므스게'로 적었으니 이어적기죠.참고로 '므슥'은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는 단어입니다. 네이버 국어사전으로 조회해서 예문을 보면 더 좋을 것 같군요. 같은 뜻으로 '므슴'도 있습니다.

자료/국어문법

국어의 문법체계 프레지

국어의 문법체계를 정리한 프레지입니다. 빈 공간이 많은 이유는 풍부한 예시를 직접 찾아서 정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입니다.

Theme by Anders Noren.

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