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언론 (2)

저널/나와너로만나는리터러시

어휘력과 문해력을 구분하지 않는 언론

부제: 문해력을 어휘력으로 축소시키려는 언론보도에 담긴 담론에 대하여   "각주 뜻이 뭔가요?"…성인 '문해력' 이 정도였나 / SBS / 뉴스딱  자꾸만 어휘력 부족을 문해력 부족이라고 말하는 언론과 일부 학자가 있다. 부분적으로는 그러하지만 전혀 본질을 다루지 못하기에 해결방안도 없다. 그저 모르는 자에 대한 혐오와 단어 몇 개 더 아는 것에 대한 우쭐거림을 넘어 선민의식만 양산할 뿐이다. 잘못된 담론이 자꾸만 확대재생산 되는 것 같아 매우 별로다. 어휘력을 둘러싼 ‘사건 텍스트’의 본질을 이해해야 한다. 그 논쟁에 담긴 숨겨진 의도와 맥락 등 담론을 알아야 한다. 누가 권력을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방식의 관계를 지향하는가. 이 경우에 그것은 ― 1. 지식 수준이나 성적으로 사람을 차별하거나 비난할..

수업/TED

TED 보고 칼럼 쓰기[인문] 10강

호르헤 라모스 : 어째서 기자들은 권력에 맞서야 할 의무가 있는가? | TED2017 호르헤 라모스를 당신의 기자회견에서 쫓아낼 수는 있겠지만(2015년에 도널드 트럼프가 그랬던 것처럼), 결코 그를 조용하게 만들 수는 없을 것입니다. 30년 이상의 기자 경험과 함께, 라모스는 기자의 책임이 권력을 가진 이들에게 질문하고 맞서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도중에 기립박수를 받은 이 이야기에서, 그는 왜 특정한 상황에서 기자들이 참여해야 하는지를 설명합니다. ――― 구거투스: '저널리즘', 참 가슴 뛰게 하는 단어입니다. 언젠가부터 꽤 그립기도 하고 절실한 단어가 되어 버린 듯하기 때문입니다. 기자들에게는 이 저널리즘이 '프로 의식'을 심어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진짜 기자(프로)와 가짜 기자(..

Theme by Anders Noren.

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