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동명 성왕 1의 성은 고(高)요, 이름은 주몽이다. 앞서 부여의 왕 해부루는 늙어 아들이 없었으므로 산천에 제사 지내어 아들을 구했다. 그가 탔던 말이 곤연 못에 이르러 큰 돌을 보고 마주 대하여 눈물을 흘렸다. 2왕은 이것을 이상히 여겨 사람을 시켜 그 돌을 굴려 들치니, 거기에 조그만 아이가 있는데 금빛 개구리 생김새였다. 왕은 기뻐서 말했다.
“이것은 하늘이 나에게 아들을 주심이로구나!”
이에 거두어 기르며 이름을 금와라 했다. 왕은 그가 자라자 태자로 삼았다. 그 후에 부여의 정승 아란불이 말했다.
“일전에 천제가 내게 내려와 ‘장차 내 자손에게 나라를 이곳에 세우게 하려 하니 너는 비켜 가거라. 동해 바닷가에 땅이 있는데, 이름을 가섭원이라 한다. 땅이 기름져 오곡이 잘 자랄 것이니 도읍을 정할 만하다.’고 하셨다.” 3
아란불은 드디어 왕에게 권하여 도읍을 그곳 4으로 옮기고, 나라 이름을 동부여라 했다. 부여의 옛 서울 5에는 6온 곳을 알 수 없는 사람이 나타났는데 그는 스스로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 일컫고 와서 거기에 도읍을 정했다.
해부루가 세상을 떠나자 금와가 왕위를 이었다. 이때에 7금와가 태백산 남쪽 우발수에서 한 여자를 만나 그녀에게 물으니 이렇게 말했다.
“저는 하백의 딸입니다. 이름은 유화라고 합니다. 제가 여러 아우와 놀고 있을 때, 한 남자가 나타나 자기는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 하면서 저를 웅심산 밑 압록강가에 있는 집으로 유인해 정을 통해 놓고 가서는 되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부모님은 제가 중매 없이 혼인한 것을 꾸짖어, 우발수에 귀양 보냈습니다.”
금와는 그녀를 이상히 여겨 방 안에 가두어 두었는데, 햇빛이 비치게 되었다. 몸을 이끌어 그것을 피해 가니 햇빛이 또 따라가 그녀를 비췄다. 그로 말미암아 아기를 배어 한 개의 알을 낳으니 크기가 닷 되들이만 했다.
금와왕은 그것을 버려 개와 돼지에게 주었지만 모두 먹지 않았다. 또 그것을 길가에 버렸지만 말과 소가 그것을 피해 가고, 다시 들판에 버렸지만 새들이 날개로 덮어 주었다. 왕은 그것을 쪼개려 했으나 쪼갤 수 없어서 마침내 그 어머니에게 돌려주었다. 그 어머니는 그것을 싸서 따뜻한 곳에 두었는데 한 사내아이가 껍데기를 부수고 나왔다. 골격과 용모가 영특하고 기이했다. 나이 겨우 일곱 살에 기골이 준수하여 범인과 달랐다. 제 손으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백 번 쏘아 백 번 맞혔다. 부여의 속어에 활을 잘 쏨을 주몽이라 한 까닭으로 이름을 주몽이라고 지었다.
금와왕에게는 일곱 아들이 있었는데, 언제나 주몽과 함께 놀았으나 그들의 기능이 모두 8주몽을 따르지 못했다. 그의 맏아들 대소가 금와왕에게 아뢰었다.
“주몽은 사람이 낳은 것이 아니며, 그의 사람됨이 용맹스러우니 만약 일찍 없애지 않으면 아마 후환이 있을 것입니다. 그를 없애 버리십시오.”
왕은 그 말을 듣지 않고 주몽에게 말을 기르게 했다. 주몽은 좋은 말을 알아보아 좋은 말은 적게 먹여서 여위게 하고 나쁜 말은 잘 먹여 살찌게 했다. 왕은 살찐 말은 자기가 타고 여윈 말은 주몽에게 주었다. 후에 들판에 사냥을 나갔는데, 주몽은 활을 잘 쏘았으므로 그에게 준 화살은 적었으나 그가 잡은 짐승은 매우 많았다.
이에 왕의 아들들과 여러 신하는 또 그를 죽일 일을 꾀했다. 주몽의 어머니는 이 사실을 알고 몰래 그에게 일렀다.
“나라 사람들이 장차 너를 죽이려고 하니, 너의 재능과 지략으로써 어디 간들 안 되겠는가? 이곳에 오래 머물러서 욕을 당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멀리 가서 큰일을 하는 것이 낫겠다.”
주몽은 오이, 마리, 협보 등 세 사람과 벗을 삼아 엄사수에 이르러 건너가려 했으나 다리가 없었다. 뒤쫓는 군사에게 잡힐까 두려워하여 물에게 일렀다.
“나는 천제의 아들이요, 하백의 외손이다. 오늘 도망해 가는데 뒤쫓는 자가 거의 닥치게 되었으니 어찌해야 하겠느냐?”
이에 물고기와 자라가 다리를 만들어 주몽을 건너가게 하고는 곧 흩어지니, 뒤쫓는 기병은 건널 수 없었다.
주몽이 모둔곡에 이르러 세 사람을 만났는데, 그중 9한 사람은 삼베옷을 입었고, 한 사람은 중의 옷을 입었고, 한 사람은 마름 옷을 입고 있었다. 주몽이 물었다.
“그대들은 어떠한 사람이며, 성은 무엇이고, 이름은 무엇인가?”
삼베옷을 입은 사람이 말했다.
“이름은 재사입니다.”
중의 옷을 입은 사람이 말했다.
“이름은 무골입니다.”
마름 옷을 입은 사람이 말했다.
“이름은 묵거입니다.”
그러나 성은 말하지 않으므로 주몽이 재사에게는 극씨를, 무골에게는 중실씨를, 묵거에게는 소실씨를 주었다. 이에 여러 사람에게 일렀다.
“내가 지금 천명을 받아 나라를 세우려 하는데, 마침 이 세 어진 이를 만났으니 어찌 하늘이 주신 분이 아니겠느냐?”
마침내 그들의 재능을 알아 저마다 알맞은 일을 맡겼다. 그들과 함께 졸본천에 이르러 그곳 땅이 기름지고 산천이 험하고 견고함을 보고, 마침내 거기에 도읍을 정하려 했다. 그러나 미처 궁실을 지을 겨를이 없어서 다만 불류수가에 집을 지어 거기에 살면서, 나라 이름을 고구려라 하고 나라 이름으로 말미암아 ‘고’를 성으로 삼았다. 10
© EBS클립뱅크 (http://clipbank.ebs.co.kr/clip/view?clipId=VOD_20111007_00013)
― 이재호 옮김, 『삼국사기 2』
- 글자색이 같으면 같은 인물입니다.예를 들어 빨간색은 모두 '주몽'이고, 보라색은 모두 '유화'이지요. [본문으로]
- 지명. [본문으로]
- 천제의 말을 직접인용한 것. 즉, "천제 said, '~~' " [본문으로]
- 천제가 자신(아란불)에게 한 말을 전함으로써, [본문으로]
- 동해 바닷가의 가섭원. [본문으로]
- 원래 부여의 서울이었던 곳. 천제가 아란불에게 비키라고 한 곳. [본문으로]
- 세대 교체. 시간의 흐름. 즉, 장면 전환의 표지.이제 사건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지요. [본문으로]
- 금와왕의 일곱 아들 등장. 즉, (새로운 사건을 암시하는) 장면 전환의 표지. [본문으로]
- 새로운 장소로 이동. 장면 전환의 표지. [본문으로]
- '불류수(沸流水)'는 만주 지역의 강으로 추정되는 고유명사입니다. '가'는 가장자리라는 뜻이고요. 그러니 '가까이 있던 강가' 정도로 이해하면 될 듯합니다. [본문으로]
'자료 >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생규장전(김시습) (0) | 2019.05.08 |
---|---|
시조 "님이 오마 하거늘~" (작자 미상) (0) | 2019.05.08 |
시조 "잔 들고 혼자 안자~" (윤선도) (0) | 2019.05.08 |
시조 "백설이 자자진 골에~" (이색) (0) | 2019.05.08 |
도산십이곡(이황) (0) | 2016.03.01 |
찬.기파랑.가(충담사) (0) | 2015.11.07 |
동동(작자 미상) (0) | 2015.11.07 |
문항의 선택지로 본 '최고운전'의 키워드 (3) | 201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