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금 교과서에 있는 작품 네 편을 중심으로 학습하고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한 작품씩 나누어서 분석을 했는데요, 이번에는 같은 작품을 고른 학생끼리 모여서 함께 깊이 있게 논의하고, 그 결과를 다른 모둠원들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Photo by Sandrachile . on Unsplash

 

 
1. 지난 시간에 분석한 작품이 같은 사람끼리 모여서 다음에 대해 이야기 나눕니다. 모임 장소는 아래 지침을 따르세요.
 
  • 사랑(김수영) ― 대출반납대
  • 모든 첫 번째가 나를(김혜수) ― 남쪽 아이맥
  • 봄(이성부) ― 학생관(매점) 쪽 첫 번째 아이맥
  • 껍데기는 가라(신동엽) ― 학생관(매점) 쪽 두 번째 아이맥
 
사랑(김수영)

(1) 시적 화자는 무엇을 보고 있나?

(2) 그것은 어떤 특징이 있나?

(3) 그런 특징이 있음에도 ‘사랑’일까?

(4) (관점 더하기) 이 시가 4.19혁명과 관련 있는 것이라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5) (내면화하기) 이 시를 내(친구)가 처한 상황과 관련 짓는다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지난 시간에 정리한 개념어와 근거 일치시키기)

 
모든 첫 번째가 나를(김혜수)

(1) 시적 화자가 ‘모든 첫 번째가 나를 끌고’ 다닌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2) 자신을 첫 번째의 인질, 볼모라고 하는 이유는?

(3) 원래는 ‘첫 번째’가 나를 끌고 다니는 걸까, 아니면 내가 ‘첫 번째’를 생각하며 사는 걸까? 이런 표현을 뭐라고 할까?

(4) (내면화하기) 이 시를 오늘 아침, 또는 올해, 또는 고등학교 생활을 하고 있는 자신과 관련 짓는다면 어떤 이야기가 가능할까?

(지난 시간에 정리한 개념어와 근거 일치시키기)

 
봄(이성부)

(1) 이 시의 등장인물은? (모두 셋)

(2) 따뜻함 외에도 ‘봄’에는 어떤 속성이 있나?

(3) ‘봄’의 그런 속성이 시적 화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좋은 영향이었을까, 안 좋은 영향이었을까?

(4) 봄이 왔을 때의 화자의 모습은 어떠한가? 왜 그럴까?

(5) (관점 더하기) 이 시가 일제 강점기를 배경으로 쓰여진 것이라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각주:1]

(6) (내면화하기) 이 시를 내가 처한 상황과 관련 짓는다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지난 시간에 정리한 개념어와 근거 일치시키기)

 
껍데기는 가라(신동엽)

(1) ‘껍데기’ 대신 쓰인 말에는 어떤 말이 있나?

(2) ‘껍데기’의 반대는 ‘알맹이’일 텐데, 그 의미로 사용된 것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3) 화자는 왜 껍데기를 싫어할까? 알맹이만 있는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4) (관점 더하기) 이 시가 4.19혁명과 관련 있는 것이라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5) (내면화하기) 이 시를 우리가 처한 상황과 관련 짓는다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 (지난 시간에 정리한 개념어와 근거 일치시키기)

 
 
 
― 
2. 각 작품 별 대표는 댓글로 활동 내용을 정리한 보고문을 작성합니다.
 
아래 형식을 지켜주세요.
 
시 제목(시인 이름)
참여자: OOO, OOO, OOO, ...
*** (구분선. 별 세 개 꼭 넣을 것!!)
(1) ...내용...
(2) ...내용...
(3) ...내용...
(4) ...
*** (구분선. 별 세 개 꼭 넣을 것!!)
시에 있다고 합의된 개념어 1 (근거(맨 앞에 + 기호 꼭 넣을 것!!)
시에 있다고 합의된 개념어 2 (근거)
시에 있다고 합의된 개념어 3 (근거)
...
 
― 
이름: O반 작성자 이름
비밀번호: 마음대로. (단, 추후에 수정이 가능하도록 반드시 기억하세요.)
 

 

 

3.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다른 3편의 시들도 한 사람씩 정해서 낭독해 봅니다.[각주:2]

다른 친구들이 작성한 댓글들도 읽어 봅니다.

 

 
2019. 4. 10 - 11.
 

 

  1. 실제로는 1974년에 발표된 작품입니다.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강했던 때로, '봄'을 자유와 민주주의 정도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본문으로]
  2. 낭독할 때 유의점 ― 천천히 읽는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