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국어공부자료 (106)

📦국어공부자료/현대문학

[현대시][과시기] 가지가 담을 넘을 때(정끝별)

이를테면 수양의 늘어진 가지가 담을 넘을 때그건 수양 가지만의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얼굴 한 번 못 마주친 애먼 뿌리와잠시 살 붙였다 적막히 손을 터는 꽃과 잎이혼연일체 믿어 주지 않았다면가지 혼자서는 한없이 떨기만 했을 것이다​한 닷새 내리고 내리던 고집 센 비가 아니었으면밤새 정분만 쌓던 도리 없는 폭설이 아니었으면담을 넘는다는 게가지에게는 그리 신명 나는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무엇보다 가지의 마음을 머뭇 세우고담 밖을 가둬 두는저 금단의 담이 아니었으면담의 몸을 가로지르고 담의 정수리를 타 넘어담을 열 수 있다는 걸수양의 늘어진 가지는 꿈도 꾸지 못했을 것이다​그러니까 목련 가지라든가 감나무 가지라든가줄장미 줄기라든가 담쟁이 줄기라든가 가지가 담을 넘을 때 가지에게 담은무명에 획을 긋는도박이자 도반이었..

📦국어공부자료/현대문학

[현대시][과시기] 맨발(문태준)

어물전 개조개 한 마리가 움막 같은 몸 바깥으로 맨발을 내밀어 보이고 있다죽은 부처가 슬피우는 제자를 위해 관 밖으로 잠깐 발을 내밀어 보이듯이 맨발을 내밀어 보이고 있다.펄과 물 속에 오래 담겨 있어 부르튼 맨발내가 조문하듯 그 맨발을 건드리자 개조개는최초의 궁리인 듯 가장 오래하는 궁리인 듯 천천히 발을 거두어 갔다.저 속도로 시간도 흘러왔을 것이다.누군가를 만나러 가고 또 헤어져서는 저렇게 천천히 돌아왔을 것이다.늘 맨발이었을 것이다.사랑을 잃고서는 새가 부리를 가슴에 묻고 밤을 견디듯이 맨발을 가슴에 묻고 슬픔을 견디었으리라아-,하고 집이 울 때부르튼 맨발로 양식을 탁발하러 거리로 나왔을 것이다.맨발로 하루 종일 길거리에 나섰다가가난의 냄새가 벌벌벌벌 풍기는 움막같은 집으로 돌아오면아-,하고 울던..

📦국어공부자료/현대문학

[현대시][과시기] 가족(이상)

문(門)을암만잡아다녀도안열리는것은안에생활(生活)이모자라는까닭이다.밤이사나운꾸지람으로나를졸른다.나는우리집내문패(門牌)앞에서여간성가신게아니다.나는밤속에들어서서제웅처럼자꾸만감(減)해간다.식구(食口)야봉(封)한창호(窓戶)어데라도한구석터놓아다고내가수입(收入)되어들어가야하지않나.지붕에서리가내리고뾰족한데는침(鍼)처럼월광(月光)이묻었다.우리집이앓나보다그러고누가힘에겨운도장을찍나보다.수명(壽命)을헐어서전당(典當)잡히나보다.나는그냥문(門)고리에쇠사슬늘어지듯매어달렸다.문(門)을열려고안열리는문(門)을열려고.― 이상, ――과정중심 시 읽기 문(門)을암만잡아다녀도안열리는것은안에생활(生活)이모자라는까닭이다.➔ 생활이 모자라서 문을 암만 잡아다녀도 안 열린다.그런데, '생활이 모자라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 '정상적인' 생활이 아닐까..

📦국어공부자료/국어문법

국어의 문법체계 프레지

국어의 문법체계를 정리한 프레지입니다. 빈 공간이 많은 이유는 풍부한 예시를 직접 찾아서 정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입니다.

📦국어공부자료/현대문학

[현대시] 향香아(신동엽) @2015수능특강

수능연계교재 수능특강(2015) B형 210쪽의 문항으로부터 도출한, 신동엽의 '향아'에 대한 키워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동일한 서술어('가자')의 반복 > 시적 의미 강화. // 이상 [ 1번 문항 ]으로부터 - 청자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자) - 직접적 감정 표현(두렵노라) - 역동적 심상(나부끼며, 춤추던, 굽이치는). // 이상 [ 3번 문항 ]으로부터 그밖에, 이해 여부를 점검해야 하는 개념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 반어적 표현, 어조 변화, 관조적, 냉소적, 건조한 진술, 정서 객관화. // 이상 [1번 문항 ]으로부터 같은 제시문에 출제되었던 다른 작품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2015/08/04 - [현대문학/현대시] - 상행(김광규)

📦국어공부자료/현대문학

[현대시]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정현종) @2015수능특강

수능연계교재 수능특강(2015) B형 196쪽의 문항에서 도출한, 정현종의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의 키워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직적 이미지 - 인간의 실존적 한계로 인한 내면적 갈등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상승에의 지향 그 밖에 점검해야 할 문학 개념어가 1번 문항에 많았습니다. 이해 여부를 반드시 점검하세요.- 동적 이미지와 정적 이미지, 청각적 이미지와 시각적 이미지, 환기, 움직임에 대한 묘사, 형태에 대한 묘사, 대비되는 속성의 대조 함께 출제된 다른 작품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2015/08/03 - [현대문학/현대시] - 강강술래(이동주)

📦국어공부자료/현대문학

[현대시] 까치밥(송수권) @2015수능특강

수능연계교재 수능특강(2015) B형 184쪽에서 도출한,송수권, '까치밥'에 대한 키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도시화 > 공존의 가치 상실- 잃어버린 가치- 타인의 배려 // 이상, 3번 문항. ---그밖에, 1번 문항에서는 아래와 같은 개념어를 사용하여 선택지를 구성하였습니다. 모르는 개념이 없는지 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의인화 기법, 화자의 모습 구체화,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화자, 유사한 문장 구조 반복, 공감각적 심상, 계절의 순환 같은 제시문으로 함께 출제된 다른 작품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2015/08/03 - [현대문학/현대시] - 산이 날 에워싸고(박목월)

📦국어공부자료/문제해결전략

[문항분석연습:고전시가] 서방님 병 들여 두고~(김수장)

수능연계교재 수능특강(2015) B형 309쪽 문항 분석 결과, 김수장의 사설시조, '서방님 병 들여 두고~'는 아래와 같이 키워드 정리를 할 수 있겠습니다. 개념정리 노트에 정리를 해 두면, 그 어떤 자습서보다 좋은 자료가 될 것입니다. 37-①번 선택지의 '화자와 심리적으로 가까운 인물'이라는 표현을 본다면, 반드시 누군지 찾아야 합니다. 위 시의 경우, '병든 남편(서방님)'을 떠올리고 있죠? 시가 해석이 안 되더라도 시를 읽고 '서방님 병 들여'는 읽을 수 있잖아요. 그러면 '애틋함'은 근거가 뭘까요? 그 병든 남편을 위해서 뭔가를 하고 있잖아요! 38-에서는 사설시조의 특징을 알 수 있습니다. 수능연계교재에 인용된 글이므로, 다른 어떤 참고서보다도 이 글에서 하고 있는 표현들에 주목하는 것이 좋..

📦국어공부자료/문제해결전략

사자성어 기억하기 방법

결자해지(結者解之): 결자가 해지해야 한다. 금의환향(錦衣還鄕): 금의를 입고 환향하다. 삼고초려(三顧草廬): 초려를 삼고하다. 자승자박(自繩自縛): 자승으로 자박하다. 천재일우(千載一遇): 천재(천 년)에 일우할까 말까 한 기회. 그냥 기계적으로 외우는 것은 한계가 큽니다. 기억하기 쉬운 방법을 스스로 찾아서 적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위이 사례는 그 중 한 가지 예에 불과하겠지요. ― 커버이미지 출처, 조선일보

📦국어공부자료/현대문학

[현대시] 산길에서(이성부) @2015수능특강

수능연계교재 수능특강(2015) B형 303쪽의 문항을 분석하여,이성부의 '산길에서'에 대한 키워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31-⑤, 33-⑤ 화자가 추구하는 삶의 자세. 무엇일까? - 무엇 하나씩 저마다 다져놓고 사라지는 것.32-④ 후각적 이미지('내음')32-⑤ 산과 합일을 추구(X), 길을 만든 사람들을 따르려 함(O), 동적인 이미지('따라 오르는') 같은 제시문으로 출제된 다른 작품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2015/08/07 - [현대문학/현대시] - 거산호2 (김관식)

📦국어공부자료/고전문학

문항의 선택지로 본 '최고운전'의 키워드

수능연계교재 수능특강(2015) B형 271쪽의 문항을 통해 분석한 '최고운전'의 키워드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41-④ 전기(傳奇)적 요소가 있음. 42-① 최치원은 탁월한 문재를 갖추기 위해 끊임없이 정진하는 인물. 42-③ 최치원은 금돼지의 자식으로 의심 받아 기아(棄兒)의 아픔을 겪음. 42-④ 비범한 실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신이한 조력자들이 도움. --- 작품과는 관련이 없지만, 익혀두어야 하는 개념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41-① 병치 41-① 비장미 41-① 골계미 41-② 서술자의 개입 41-⑤ 입체성(by 현재와 과거 장면의 반복 교차) 사자성어 문제가 나왔지요? 나온 것들은 익혀 둡시다. 43-① 반신반의(半信半疑): 반은 신하고, 반은 의함. 43-② 허장성세(虛張聲勢..

📦국어공부자료/문제해결전략

[문항분석연습:고전시가] 대추 볼 붉은 골에~(황희) / 동창이 밝았으냐~(남구만) / 논밭 갈아 김매고~(작자 미상)

수능연계교재 수능특강(2015) B형 269쪽의 문항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세 작품의 키워드 찾기 연습을 해 보겠습니다. 38번 문항의 ①번 선택지를 통해, 황희의 '대추 볼 붉은 골에~'에 대한 키워드가 '전원 생활의 풍요로움'임을 도출해 낼 수 있네요. 시의 내용에서도 '대추가 잘 익었음', '벼를 베었음(수확을 했음)', '술이 익었고, 먹을 때가 되었음' 등의 이유로 인해 '풍요로움'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지요. 특히, 39번 문항의 ①번 선택지에서 밝히고 있듯, '대추'는 시간적 배경을 알려 주지요. (가을) 39번의 ①번 선택지는, 남구만의 '동창이 밝았느냐~'에 대해서도 '동창'이 시간적 배경을 알려 준다는 것을 알려 줍니다. (아침) 사설시조 '논밭 갈아 김 매고~'에 대해서는, 40..

Theme by Anders Noren.

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