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공부자료/개념어

사건을 다각도로 제시? 입체적으로 제시?

호모 구거투스 2019. 4. 21. 23:43

아래는 모두 같은 개념입니다. 2018년 한 해만 해도 꽤 자주 출제되었죠?



다양하게 여러 관점으로, 혹은 여러 입장으로 사건을 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것들은 아래의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습니다.[각주:9] [각주:10]


  • "장면마다 다른 서술자를 설정"[각주:11] "서술자가 다양한 인물로 바뀌면서"[각주:12]
  • "동시에 일어나는 두 개의 사건을 병렬적으로 배치"[각주:13] = "같은 시간에 벌어지는 다양한 장면을 병렬적으로 제시"[각주:14] = "동시에 일어난 사건들을 나란히 배치"[각주:15] = "동시에 진행되는 사건을 병치"[각주:16] = "동시에 벌어진 사건들을 삽화처럼 나열"[각주:17]
  • "시점의 변화"[각주:18] = "시점의 전환"[각주:19] = "서술의 시점을 달리함"[각주:20]  "공간의 이동에 따라 서술자를 달리함"[각주:21]
  • "과거와 현재의 반복적인 교차"[각주:22]  "인물의 회상을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를 반복하여 교차"[각주:23]


어떤 사건을 다각도로 본다는 것, 혹은 입체적으로 본다는 것은 자기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기준과 시각으로 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노력해야 얻을 수 있는 일종의 '능력'이지요! 그래서 출제자들이 좋아하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Photo by William Warby on Unsplash)


  1. (2018년/고1/3월/25번의 ①) [본문으로]
  2. (2018년/고1/6월/24번의 ①) [본문으로]
  3. (2018년/고1/9월/23번의 ③) [본문으로]
  4. (2018년/고2/6월/34번의 ④) [본문으로]
  5. (2018년/고2/9월/33번의 ⑤) [본문으로]
  6. (2018년/고3/6월 평가원모의고사/43번의 ④) [본문으로]
  7. 즉, 사건이지요. [본문으로]
  8. (2019학년도 대수능 홀수형 21번의 ④) [본문으로]
  9. (주의사항1) 제시되는 내용들이 모두 같은 개념은 아닙니다. 하지만 유사한 개념끼리는 묶어 놓았습니다. [본문으로]
  10. (주의사항2) 제시되는 내용들이 모두 사건을 다각도로 또는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역할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서술의 속도를 지연시키는 등 다른 역할도 충분히 할 수 있답니다. [본문으로]
  11. (2018년/고1/3월/25번의 ①) [본문으로]
  12. (2018년/고3/6월 평가원모의고사/43번의 ④) [본문으로]
  13. (2018년/고1/3월/25번의 ⑤) [본문으로]
  14. (2018년/고2/11월/21번의 ④) [본문으로]
  15. (2018년/고3/3월/39번의 ②) [본문으로]
  16. (2018년/고3/4월/26번의 ③) [본문으로]
  17. (2018년/고3/6월 평가원모의고사/43번의 ③) [본문으로]
  18. (2018년/고1/6월/24번의 ①) [본문으로]
  19. (2018년/고1/9월/23번의 ③) [본문으로]
  20. (2018년/고2/6월/34번의 ④) [본문으로]
  21. (2018년/고2/9월/33번의 ⑤) [본문으로]
  22. (2018년/고1/6월/24번의 ⑤) [본문으로]
  23. (2018년/고2/11월/21번의 ③)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