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공부자료/개념어

공감각, 혹은 감각의 전이

호모 구거투스 2019. 4. 8. 12:43

'공감각'이란 감각의 전이가 일어난 것을 말합니다.

'전이'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아 자리나 위치가 바뀐 것입니다.

문학에서는 이런 것이 주로 '수식어+피수식어', 또는 '주어+서술어'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푸른 종소리 (수식어+피수식어)

종소리가 푸르다 (주어+서술어)


위와 같은 것은 공감각적 심상입니다. 청각의 시각화이지요.


그런데 이를 복합감각과 혼동해선 안 됩니다. 아래와 비교해 보세요.

아래는 복합감각이지, 공감각이 아닙니다.


술 익는 마을[각주:1]마다 타는 저녁놀[각주:2]


두 개의 감각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나열된 것에 불과하지요.

공감각적 심상과 달리 주로 '-고'와 같은 '연결어미', '와/과' 등의 접속조사, 쉼표 등에 의해 실현된다는 점을 참고하세요.[각주:3]


"기타 선율이 햇살에 반짝이네요!" ➔ 주어(선율이)+서술어(반짝이네요) ➔ 공감각적 이미지 (Photo by Clint McKoy on Unsplash)


  1. 후각적 이미지 [본문으로]
  2. 시각적 이미지 [본문으로]
  3. 위의 예는 '술 익는 마을, 타는 저녁놀'로 바꾸어 이해할 수 있지요.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