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물전 개조개 한 마리가 움막 같은 몸 바깥으로 맨발을 내밀어 보이고 있다

죽은 부처가 슬피우는 제자를 위해 관 밖으로 잠깐 발을 내밀어 보이듯이 맨발을 내밀어 보이고 있다.

펄과 물 속에 오래 담겨 있어 부르튼 맨발

내가 조문하듯 그 맨발을 건드리자 개조개는

최초의 궁리인 듯 가장 오래하는 궁리인 듯 천천히 발을 거두어 갔다.

저 속도로 시간도 흘러왔을 것이다.

누군가를 만나러 가고 또 헤어져서는 저렇게 천천히 돌아왔을 것이다.

늘 맨발이었을 것이다.

사랑을 잃고서는 새가 부리를 가슴에 묻고 밤을 견디듯이 맨발을 가슴에 묻고 슬픔을 견디었으리라

아-,하고 집이 울 때

부르튼 맨발로 양식을 탁발하러 거리로 나왔을 것이다.

맨발로 하루 종일 길거리에 나섰다가

가난의 냄새가 벌벌벌벌 풍기는 움막같은 집으로 돌아오면

아-,하고 울던 것들이 배를 채워

저렇게 캄캄하게 울음도 멎었으리라 

 문태준, <맨발> (현대시학 2003년 8월호)


――

정중심  읽


어물전 개조개 한 마리가 움막 같은 몸 바깥으로 맨발을 내밀어 보이고 있다

➔ 화자는 개조개를 보고 있는데, '움막 같은 몸'이라고 했네? 초라하고 볼품 없구나. 거기다가 맨발까지 내밀었다니!


죽은 부처가 슬피우는 제자를 위해 관 밖으로 잠깐 발을 내밀어 보이듯이 맨발을 내밀어 보이고 있다.

➔ 그런데 화자는 이 볼품없는 것을 보고 '죽은 부처가 슬피우는 제자를 위해' 내민 발을 떠올렸어. 뭔가 경건하고 숙연해지기 시작하지? 즉, 화자도 개조개의 속살을 보고 경건하고 숙연한 뭔가를 생각하고 있다는 거야. (고귀한 가치 부여)


펄과 물 속에 오래 담겨 있어 부르튼 맨발

➔ 개조개로서는 당연한 것이지만, 화자는 이미 어떤 사람의 부르튼 발을 떠올리고 있어. 그렇다면 매우 고생을 한 발이겠구나.


내가 조문하듯 그 맨발을 건드리자 개조개는

➔ '조문하듯'이라는 표현에서 숙연하고 경건한 느낌을 다시 느낄 수 있지? 어쨌든, 화자는 그 개조개의 속살을 건드렸네.


최초의 궁리인 듯 가장 오래하는 궁리인 듯 천천히 발을 거두어 갔다.

➔ 개조개가 화들짝 놀라서 얼른 발을 거둘 줄 알았지? 근데, 아니네?

무엇을 궁리하는지 '천천히' 발을 거두어들이고 있으니 그 모습을 상상해봐. 개조개의 껍질 속으로 속살이 천...천...히 들어가는 모습을.


저 속도로 시간도 흘러왔을 것이다.

➔ 개조개의 껍질 속으로 속살이 천...천...히 들어가는 모습을 보고, 화자는 시간이 느리게 가는 것이라고 상상했어. 어떨 때 시간이 느리게 가지? 좋을 때는 시간이 느리게 안 가. 그래, 괴롭고 힘들 때 시간은 느려져. 화자는 그런 시간을 보낸 어떤 사람을 지금부터 이야기할 거야.


누군가를 만나러 가고 또 헤어져서는 저렇게 천천히 돌아왔을 것이다.

➔ '천천히 돌아왔을 것이다'에서 시간이 느리게 갔을 것, 매우 쓸쓸하고 괴로웠을 것이라는 걸 추측할 수 있어.


늘 맨발이었을 것이다.

➔ 맨발이라는 시어만으로는 긍정/부정을 판단하기 어렵지만 3행에서 '부르튼 맨발'이라고 한 것을 고려한다면, 여기도 '부르튼'이라는 수식어가 생략된 것이라고 짐작해 볼 수 있지. 즉, 이 행은 '늘 부르튼 맨발이었을 것이다.' ➔ '긴 시간 동안 고생스러웠을 것이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사랑을 잃고서는 새가 부리를 가슴에 묻고 밤을 견디듯이 맨발을 가슴에 묻고 슬픔을 견디었으리라

➔ 계속 고생스럽고, 쓸쓸하고, 슬퍼했다는 내용이 반복되는구나.

'~리라'는 추측의 말투.


아-,하고 집이 울 때

➔ '아-'는 음성상징어. 근데 집이 왜 울까? 여기만으로는 알 수 없으니, 아래를 보자.


부르튼 맨발로 양식을 탁발하러 거리로 나왔을 것이다.

➔ 집이 울 때, 양식을 탁발하러 거리로 나간다고 하네. 탁발은 스님들이 시주하는 건데, 여기서는 가정의 생계를 위해 거리로 나간 사람이므로 동냥이나 구걸, 또는 그밖의 생계를 위한 여러가지 노력이라고 보면 되겠다. 양식을 구하러 나간 것으로 미루어 보아, 바로 위의 행에서 집이 운 이유는 양식이 없기 때문에, 혹은 가난하기 때문이구나. 그러면 '맨발'이라는 시어에 하나의 의미를 추가하자. 바로, '가난'.

'~ㄹ 것이다'는 추측의 말투.


맨발로 하루 종일 길거리에 나섰다가

➔ 고단한 삶이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가족들의 양식을 구하기 위해서이고.


가난의 냄새가 벌벌벌벌 풍기는 움막같은 집으로 돌아오면

➔ 1행에 쓰였던 '움막'이라는 시어가 재등장. 아~~, 개조개의 몸을 '움막'이라고 표현했던 이유가 이것 때문이었구나. [개조개의 속살 = 부르튼 맨발], [개조개의 움막같은 몸 = 움막같은 집].

'벌벌벌벌'은 냄새가 풍기는 모양을 흉내 내었으므로 의태어.


아-,하고 울던 것들이 배를 채워

➔ 양식을 구해와서 배를 채웠다니 다행이긴 한데, 이런 일을 한 맨발의 주인공은 몹시 고된 삶을 살고 있구나....


저렇게 캄캄하게 울음도 멎었으리라

➔ 울음이 멎은 건 좋은데, 왜 '저렇게 캄캄하게'라고 했을까? 시에서 보통 '어둠'은 어두운 미래, 고난과 시련의 상황을 나타내. 아마도 개조개의 상황과 맞물려, 부르튼 맨발의 주인도 당시로서는 자신의 처지를 암울한 미래로 인식했을 거야. 그래서 '저렇게 캄캄하게'라고 한 것이 아닐까 싶어. 어쨌든, 가장으로서의 책임은 다하고 있구나. 눈물이 날 만큼.